세상은 넓고 한번도 가보지 않은 곳은 너무나도 많습니다. 팬더믹 시대가 종식되면 언젠가는 해외 여행을 꿈꾸시는 많은 분들, 세계지도 고화질 이미지들로 나만의 버킷리스트를 만드는 분들도 많을텐데요. 조그마한 이미지가 아닌 자세하고 선명하게 확대할 수 있는 세계지도를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한글 지도 크게보기 방법들을 소개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지도의 종류
지도를 제작할때 위선 및 경계선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좌표를 평면의 종이에 옮기는 방법을 투영법이라고 합니다. 투영법에 따라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도는 총 5가지인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로빈슨도법 1963년
- 메르카토르 도법 1569년
- 에케르트 IV 도법 1906년
- 구드 호몰로사인 도법 1923년
- 빈켈 트리펠 도법 1921년
각각의 세계지도에는 위의 표처럼 장단점이 존재하며 용도에 따라 제각각으로 사용되지만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도는 로빈슨 도법입니다. 각각의 특성들을 간략하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화질 세계지도 로빈슨 도법(robinson projection)
미국의 지리학자 로빈슨이 1963년에 제작한 지도입니다. 1988년에 네셔널지오그래픽의 공식적인 투영법으로 선정 되면서 전세계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지도이며 공간, 형태, 면적의 최적화된 균형을 추구하여 세계 지도 제작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법중에 하나입니다.
특징
전체적으로 타원 형태를 띄고 있다
왜곡이 없는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형태와 면적 간의 균형감이 탁월하다
극단적인 왜곡도를 보이는 지점이 낮다
단점
극으로 갈수록 면적이 확대된다
투영 원점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중앙 경선으로부터 멀리 있는 지역은 왜곡이 심하다
고화질 세계지도 메르카토르도법(Mercator Projection)
지구의 탄생 이래 가장 위대한 지도학자로 알려져 있는 메르카토르가 1569년에 만든 지도입니다. 로빈슨과 마찬가지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도중에 하나이며 항정선이 직선으로 표현되는 장점으로 말미암아 필수 항해용 지도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지배적인 도법으로 인해 논란이 끊이질 않았으며, 1970년도에 들어서는 도법의 적절성에 대해 많은 단체들과 사람들의 질타를 받아 결국 다른 도법들에게 1위의 자리를 양보하게 된 세계지도 입니다.
메르카토르 도법의 특징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모든 위선은 직선으로 제작되어 평행하며 길이가 일정합니다. 위선의 간격은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확대되며, 항정선이 직선으로 표현 되기에 실제 항해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대중성의 대표적인 지도로써 오랜 세월동안 벽걸이와 시계에 지도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정형화된 도법으로 국가의 형태가 지구본을 보더라도 비슷하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가장 큰 취약점은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확대된다는 것, 극단적인 면적 왜곡으로 인하여 일부 지역이 지도에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에케르트 IV도법(Ecker Projection)
독일의 에케르트가 제작한 세계지도로 1906년에 제작이 되었습니다. 로빈슨 도법과 더불어 아틀라스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도입니다. 가상원통 도법의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띄고 있는 고화질 지도입니다. 모든 지점에서 면적의 왜곡이 없으며, 정적 도법임에도 매우 낮은 수준의 형태 왜곡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로 세로비가 2로 남극과 북극 사이의 거리가 2배라는 사실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 지도입니다. 고위도 부분에서 0남북 방향으로 따라가다 보면 압착이 발생합니다.
외에 널리 사용되는 세계지도 고화질 이미지는 2~3개가 더 있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다운받는 세가지를 소개 드렸습니다. 국토정보맵에서 각각의 용지 크기별 pdf 파일들이 제작되어 있니 필요한 파일들을 찾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페이지에서 바로보기
파일의 다운로드 없이 검색하고 싶은 나라를 입력하여 확대하며 찾아볼 수 있는 세계지도 입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여러가지 옵션들을 통해서 국가명만 보기, 거리측정, 지형, 확대, 축소 기능 등등 인터넷 페이지에서 고화질 세계지도 이미지를 볼때에 가장 편하고 자세하게 볼 수있는 국토정보맵입니다.
이 글의 목차